난민에 대한 글로벌 시민들의 태도

난민에 대한 글로벌 시민들의 태도 - 52개국 글로벌 서베이

2024년 세계 난민의 날을 맞아 입소스와 유엔 난민 기구 (UNHCR)가 52개국 대상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난민에 대한 대중의 지속적인 지지와 극명한 태도의 차이가 동시에 확인됐습니다. 

주요 결과: 


1.글로벌 시민들은 전쟁이나 박해를 피하기 위한 난민 지원에 여전히 높은 지지를 보였습니다. 4명 중 3명(전 세계 국가 평균 73%)은 전쟁이나 박해로 인한 난민 지원을 지지 했습니다. 중동,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에서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케냐에서는 93%, 우간다에서는 92%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2.난민들이 권리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대한 대중의 지지 또는 '개방성'은 상당한 수준 입니다. 태도에는 차이가 있지만 조사 대상자의 절반은 난민들이 호스트 국가에 통합 될 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교육에 대한 완전한 권리를 누릴 수 있다고 믿고의료와 일자리에 대한 완전한 접근을 지지하는 비율도 각각 44% 42%로 비슷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각각 44% 42%).  4분의 3(77%)은 난민 가족이 망명 국가에서 재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에 대한 지지를 보였습니다.  

3.하지만 일부 주요 호스트 국가와 서방 국가에서는 긍정적인 정서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회의론은 난민들의 융화력과 전반적인 기여도에 대한 우려가 맞물려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3분의 1은 난민이 자국의 노동 시장, 국가 경제, 문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다른 3분의 1은 그 반대의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설문조사에서는 특히 난민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난민이 국가 안보와 공공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나타났습니다.  

4.난민이 수용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와 회의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난민을 지원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1/3은 기부나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통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난민을 지원했습니다난민의 75%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 거주하고 있는 가운데설문조사에 참여한 5명 중 2(37%)은 난민 수용 국가에 대한 국제 원조가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이 보고서는 2024년 세계 난민의 날을 맞아 입소스와 유엔 난민 기구가 전 세계 52개국 성인 33,19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로벌 설문조사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유엔 난민 기구의 희망의 집 캠페인의 일환으로 발표된 이 연구는 난민과 관련된 문제를 조명하고 난민에 대한 대중의 태도를 전 세계적으로 더 잘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조사는 2024년 5월까지 전 세계적으로 박해, 분쟁, 폭력, 인권 침해, 공공질서를 심각하게 교란하는 사건으로 인해 1억 2천만 명 이상의 강제 이주민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새롭고 오래 지속되고 있는 분쟁으로 인한 역사적 기록입니다. 이 중 4,330만 명이 난민이며,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들이 전 세계 난민의 75%, 최빈 개발 도상국들이 전체의 21%를 수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3,160만 명의 난민과 난민과 유사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 유엔 난민 기구의 권한 하에 국제적 보호가 필요한 580만 명, 유엔 난민 기구의 권한 하에 있는 600만 명의 팔레스타인 난민이 포함됩니다. 입소스는 2017년부터 매년 세계 난민의 날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해 왔으며 2024년 조사는 지금까지의 조사 중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되었습니다.

"난민"에 대한 대중의 이해 

올해 설문조사는 '난민'이라는 용어에 대한 대중의 이해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 되었습니다.  

난민의 법적 정의는 전쟁폭력 또는 박해로 인해 자신의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에서 안전을 찾아야 하는 사람입니다

조사 대상의 대다수인 75%(글로벌 평균)는 분쟁폭력박해로 인해 고국을 떠났거나 망명을 신청하여 허가를 받은 사람을 의미하는 '난민'이라는 용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었습니다그러나 상당수는 이 용어가 자연 재해를 피하거나 더 나은 경제적 기회를 찾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