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여러분은 요즘 행복하신가요? 매년 OECD에서 발표하는 세계 행복 순위에서 한국인들의 행복도는 다른 국가들보다 상당히 낮은 순위를 기록합니다. 2023년 3월에 발표한 세계 행복 순위 보고서에서도 한국은 38개국 중 35위에 그쳤습니다. 그동안 한국은 눈에 띄는 경제 성장을 이룩했지만 행복도는 경제 성장과 비례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행복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앞으로 기대하는 행복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번 입소스 리포트 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요즘 행복하신가요? 매년 OECD에서 발표하는 세계 행복 순위에서 한국인들의 행복도는 다른 국가들보다 상당히 낮은 순위를 기록합니다. 2023년 3월에 발표한 세계 행복 순위 보고서에서도 한국은 38개국 중 35위에 그쳤습니다.

그동안 한국은 눈에 띄는 경제 성장을 이룩했습니다. 세계 10대 경제 강대국에 이름을 올렸고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5천 달러를 달성했죠. 그러나 한국인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경제 성장과 비례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지난 50년간의 압축 성장이 빈부격차와 치열한 경쟁 사회를 초래하여 국민의 행복도를 낮췄다고 보는 의견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행복과 삶의 만족도, 그리고 앞으로 기대하는 행복은 어떤 모습일까요? 이번 입소스 리포트 <Global Happiness 2023 : Life Satisfaction Across the World>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 조사 개요

조사 기간 : 2022년 12월 22일 ~ 2023년 1월 6일

조사 국가 : 글로벌 32개 국가(한국, 미국, 일본, 헝가리, 터키, 스웨덴, 칠레, 인도네시아 등등)

조사표본 : 74세 이하 성인 22,508명

조사 방법 : 입소스 Global Advisor Online Survey Platform

 

한국인들이 느끼는 행복 순위, 32개국 중 31위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입소스 조사 결과, 한국인들의 행복도 (57%) 순위는 놀랍게도 조사 대상 32개국 중 31위를 기록했습니다. 세계 행복도 평균 (73%)보다 16%P나 낮은 수치였죠.

더욱 심각한 것은 한국인들이 느끼는 행복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10년 전인 2013년에 조사한 행복도는 62%였으며 그보다 2년 앞선 2011년 12월 조사에서는 71%였습니다. 2011년과 지금을 비교하면 한국인들이 느끼는 행복도는 12년 새 무려 14%P나 감소한 것입니다.

지난 10년 동안 상당한 경제 성장을 이뤄냈고 사회 인프라가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행복도는 감소한 것으로 보아, 경제 성장이 개인의 행복도 상승을 좌우하는 게 아니라는 걸 알 수 있었죠.

 

한국인들은 어디서 행복과 만족감을 느낄까?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그렇다면 한국인들은 어디서 행복과 삶의 만족감을 느낄까요?

먼저 세계인들의 생각을 알아보겠습니다. 평균적으로 세계인들은 '자녀'(85%)에게서 가장 큰 행복과 삶의 만족감을 얻고 있었습니다.

그다음으로 '파트너/배우자와의 관계' (84%), '자연환경 접근성' (80%), '교육 수준' (80%), '친척들과의 관계' (78%), ‘친구 관계’ (78%)가 뒤를 이었습니다. 설문 결과 세계인들은 주로 인간관계에서 행복을 느낀다고 응답했습니다.

‘경제 상황’과 ‘사회 정치적 상황’에 40% 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사회 경제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한국은 세계 평균과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결과를 보였습니다. 한국인들 역시 '자녀’(78%), '파트너/배우자 관계’(73%), '친척들과의 관계’(64%), '교육 수준'(60%)에 대한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어요. 가장 만족감이 낮은 건 '경제 상황’(21%)이었죠.

하지만 '자연환경 접근성’(56%), ‘친구 관계’(56%) 등에서 얻는 만족감은 ‘뉴스/정보 접근성’(58%), ‘직장 동료 관계’(58%), ‘자유롭게 활동하고 발언할 수 있음’(58%)에서 얻는 만족도보다 약간 낮았습니다.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글로벌 시민들의 행복과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에는 '삶이 의미 있다고 느낄 때’(0.529), '삶이 잘 통제되고 있을 때’(0.527), '정신 건강과 웰빙(0.521)’, '사회/친교 생활’(0.519), '생활 수준’(0.507) 등이 있었습니다. 물질적인 요소보다는 내적·정신적 요소에서 큰 만족감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더 자세히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에 따라 행복감을 주는 요소가 달라졌습니다.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랑과 인간관계, 자유로움, 개인의 안전 등 내적·정신적 요소가 행복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반면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수록 ‘생활 수준'이나 ‘삶이 잘 통제되고 있을 때', ‘삶이 의미 있다고 느낄 때' 등 내적·정신적 요소 외에도 ‘물질적 소유', ‘사회적 지위', ‘개인 재정 상황' 등 외적 요소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또한 시민들의 소비 여력과 경제 전망에 따른 행복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입소스 소비자 신뢰지수와 행복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봤을 때, 소비자 신뢰지수가 높을수록 행복도 역시 높았습니다.

한국의 경우 소비자 신뢰지수가 낮게 나타났고 이에 비례하여 행복도도 낮은 편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경제적인 여건이 뒷받침될 때 시민들의 행복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한국인들은 어려울 때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이 있을까?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한국인들은 어려울 때 의지할 수 있는 친구나 친척이 있다고 대답하는 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믿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나 친척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인 응답자 중 61%가 ‘그렇다’라고 답변했으며, 이는 세계 평균(72%)보다 낮고 설문에 참여한 32개국 중 뒤에서 세 번째로 낮은 수치였습니다. OECD에서 시행한 ‘삶의 질' 조사에서도 한국이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이는 한국의 사회 연계 지원이 매우 약한 것을 보여줍니다.

정해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이를 "내가 사는 게 바빠 주변을 못 챙겼으니 남들도 나를 챙겨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적지 않은 한국인이 현재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으나, 이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어요. '최근 짜증 나고 스트레스받는 일로 기분이 좋지 않았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1%가 동의했고, '최근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난관을 마주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35%의 응답자가 ‘그렇다’라고 답변했습니다.

 

한국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인간관계

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세계에서 유독 낮은 한국의 행복 순위와 미래그렇다면 한국인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인간관계는 어떤 모습일까요? 주요 인간관계인 ‘파트너/배우자', ‘결혼 생활', ‘친구' 관계가 향후 10년간 어떻게 변할지 조사해 보았습니다.

한국인들은 모든 관계에 부정적인 전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2개국 응답자 대다수는 ‘좋은 파트너/배우자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라는 질문에 부정적인 전망(평균 -21%P)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중 한국인 응답자의 부정적인 전망(-58%P)이 가장 높았습니다.

‘행복한 결혼 생활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38%P)와 ‘의지할 수 있는 가까운 친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45%P) 역시 부정적인 전망이 훨씬 우세해 벨기에, 터키, 헝가리에 이어 뒤에서 4번째 순위를 기록했어요.

 

마치며

지금까지 한국의 행복 순위와 행복 요인, 미래 인간관계 전망에 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리포트 조사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에는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만, 무엇보다 경제적 안정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다음으로 우리 사회가 어떻게 하면 원만하고 안정적인 인간관계를 만들어 갈 수 있을지, 삶의 의미나 통제력 등 자아실현을 위해 무엇을 지원할 수 있을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번 기회에 여러분도 무엇을 통해 가장 큰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를 느끼는지 되돌아보면 어떨까요?

입소스 <Global Happiness 2023 : Life Satisfaction Across the World> 전체 리포트는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