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레트로, 심플 라이프, 헬스케어

코로나19를 전후로 삶과 건강에 대한 트렌드가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단순한 삶에 대한 욕구, 과거에 대한 향수가 커졌고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도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글로벌 트렌드 2023 시리즈의 네 번째 콘텐츠로 ‘레트로’, ‘심플 라이프’, ‘헬스케어’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로 글로벌 트렌드 또한 큰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유행의 변화인데요, 2010년대에는 현재와 미래를 바라보며 욜로(YOLO), 워라밸(Work-Life Balance) 등이 유행했습니다. 이와 다르게, 2020년대는 레트로가 유행하기 시작했죠. 사람들이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기 시작한 것입니다.

삶의 방식도 더욱 단순함을 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바쁘게 돌아가는 일상과 복잡하게 변해가는 사회에서 잠시 벗어나고 싶은 것이죠. 성장과 긴장감 대신 휴식과 안정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났어요.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기대치도 달라졌습니다. 건강의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의료 소비자들이 더 폭넓은 의료선택권을 요구하기 시작했어요.

이번 글로벌 트렌드 2023 시리즈의 네 번째 콘텐츠로 ‘레트로’, ‘심플 라이프’, ‘헬스케어’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레트로, 심플 라이프, 헬스케어

* Ipsos Global Trend 2023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리포트는 전 세계 경제의 87%와 인구의 70%를 대표하는 50개국의 48,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사회와 시장, 그리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6가지 거시적 요인과 12가지 트렌드 주제들에(기후변화, 건강, 진정성, 데이터 딜레마, 기술, 세계화, 양극화된 세상, 자본주의 터닝 포인트, 불확실성과 불평등, 향수, 단순성, 건강 관리) 대한 인사이트를 담고 있다.

 

레트로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레트로삶이 힘들고 어려울 때 여러분은 무슨 생각을 하시나요? 어떤 사람들은 앞으로 나아질 미래를 생각하며 열심히 살아가려 노력합니다. 반면에 행복했던 과거를 추억하는 사람들도 있어요.

코로나19에 이어 경제 침체까지, 다양한 경제적, 환경적 지정학적 위기가 발생하면서 미래는 불확실해졌고 함부로 예측하는 게 불가능해졌습니다.

자연스럽게 사람들은 행복했던 과거에서 위안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 시절이 좋았지'라고 생각하며 과거의 향수에 젖는 사람들이 많아졌어요. 어떤 사람들은 아예 시간을 기술이 덜 발전했던 옛날로 되돌리고 싶어 하지요.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TV 예능이나 음악, 드라마 등 콘텐츠를 만들고 소비하거나, 과거의 정치 상황을 떠올리며 정치 사회적 변화를 촉구하는 적극적인 형태를 띄기도 합니다.

입소스의 글로벌 트렌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세계 많은 시민들이 과거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각 국가가 처한 상황, 발전 과정, 사회적 분위기 등에 따라 과거에 대한 향수를 느끼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레트로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레트로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글로벌 시민이 옛날을 더 그리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는 예전이 더 좋았다’는 항목에 글로벌 시민 60%가 동의했어요. 특히 이러한 추세는 아시아(특히, 인도와 홍콩이 높았고 한국, 일본, 베트남, 중국은 낮음)와 남미, 아프리카 국가에서높게 나타났습니다. 

세대별 조사에서도 전체적으로 과거에 대한 향수가 높음을 확인했습니다. 동의률이 가장 높은 세대와 낮은 세대의 차이가 8% 밖에 나지 않았습니다.

입소스 조사 결과 한국은 과거에 대한 향수가 낮은 나라들 중 하나로 나타났어요. 과거에 대한 향수가 존재하지만 과거보다는 현재가 낫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입소스 글로벌 CEO, 벤페이지 회장은 한국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과거에 대한 향수가 낮은 이유 중 하나로 빠른 속도의 경제 발전을 꼽았습니다.

 

 

짧은 기간에 경제적으로 눈부시게 빠른 속도로 성장했기에 과거보다 현재에 만족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현재 한국사회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힘들었던 시절 보다, ‘현재가 더 좋다’고 여기는 이들이 많은 거겠죠?  

 

글로벌 응답자들에 비해 한국은 과거에 대한 향수가 낮았지만, 레트로 역시 한국의 주요 마케팅 트렌드 중 하나로 자리 잡았는데요.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많은 기업이 TV 프로그램이나 음악, 패션 등 다양한 형태로 사람들의 향수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오랜 기간 동안 소비자들과 함께해 온 브랜드들은 또 하나의 기회를 맞이하며 과거 유행했던 제품이나 콘텐츠를 재출시하거나 뉴트로 마케팅을 시행하는 기업들이 많아졌습니다. 

 

조사 결과와 같이, 한국은 과거에 대한 향수보다 현재와 미래에 대한 기대가 더 강하기 때문에 제품 퀄리티와 향상된 기술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전통과 헤리티지를 가진 브랜드의 경우 레트로 마케팅으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한다면 더욱 특별한 브랜드로 각인 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겠죠?

 

 

엔데믹에도 주목받는 심플 라이프 스타일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심플 라이프

코로나19 사태는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을 더욱 단순하게 바꿔놨습니다. 불필요한 소비와 인간관계를 줄이기 시작했죠. 엔데믹 이후, 많은 사람이 예전 라이프 스타일로 되돌아겠다고 생각했지만 고물가와 기후 위기 등 새로운 상황들이 많은 사람들의 삶의 태도를 바꾸게 만들고 있습니다.

물질적 풍요로움과 성장을 위해 장시간 근무도 감수했고, 중산층이 빠르게 성장하는 원동력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사람들에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왔습니다. 그 결과 단순한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욕망이 높아지기 시작했죠.

 

이 점을 공략하는 산업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느린 와이파이를 오히려 혜택으로 내걸며 휴식을 강조하는 호텔이 나타났고, 명상 및 마음 챙김 앱이 등장했죠.

 

이처럼 단순한 삶과 휴식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얼마나 많은 글로벌 시민이 심플 라이프를 추구할까요?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심플 라이프글로벌 시민 중 상당수(절반 이상)는 ‘단순한 삶을 원하는 것(73%)’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뿐 아니라 ‘혼자 보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사람도 61%나 됐어요. 코로나19 시기에 재택근무로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되려 혼자 있는 시간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겠죠.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심플 라이프

단순한 삶을 추구하는 모습은 전 연령대에서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혼자 보내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한 사람들은 노년층에서 유독 적게 나타났어요. 노년층은 보통 혼자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타인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한다고 추측됩니다.

단순함을 추구하는 삶의 트렌드는 또 다른 상업적 기회들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기업들도 소비자들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마케팅, 제품과 서비스의 간소화를 위한 적극적인 고민으로 또 다른 기회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의료선택권 확장과 헬스케어 서비스의 미래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헬스케어코로나19 사태와 함께 사회적으로 건강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면서, 의료 소비자들이 더 폭넓은 의료선택권을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더 다양한 헬스케어 브랜드와 보건의료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소통하기를 원하고 있죠.

이러한 흐름에 맞춰 최근 헬스케어 산업에서의 원격 의료 서비스 수요가 커지고 있습니다. 대면 진료가 가능해진 지금도 말이죠. 고령 환자들은 통원이 어려운 데다가, 대면 진료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대기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지역에 상관 없이 실력 있는 의료진에게 진료받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늘어났습니다.

이렇듯 의료선택권을 강화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는데요, 글로벌 시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헬스케어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2023 (4) : 헬스케어의료 기술 및 과학이 많은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지만 많은 사람들은 컨트롤을 가지길 원하며 의료 선택권 강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글로벌 시민들 10명 중 8명이 ‘내 건강에 더 많은 선택권을 갖고 싶다'라고 답했어요. 한국(89%)은 글로벌 평균(83%)보다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연령별로는 ‘35세~44세(84%)'와 ‘45세~54세(84%)' 응답자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어요.

 

건강과 웰니스의 경계가 모호하고, 헬스케어 분야의 기술 발전이 심화되는 가운데 소비자의 의료선택권 강화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자 및 제공자를 고려한 의료계 및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대비가 필요 한 시점입니다. 

 

 

지금까지 <2023년 입소스 글로벌 트렌드> 시리즈 마지막 편인 ‘레트로’, ‘심플 라이프’, ‘헬스케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전체 리포트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참고자료)

다운로드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