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지난 몇 년간 모바일 기기 사용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가 모바일을 이용해 비디오 시청, 쇼핑, 구매,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일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개발 도상국과 선진국 간의 많은 시장에서 인터넷 접속을 모바일이 가능하게 해주었고,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관계는 더욱 세분화되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하므로 브랜드 노출은 점점 약해지고 상기율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목적

모바일을 통해 브랜드와 소비자 간 관계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구매동기 및 요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간, 위치 및 콘텍스트 관련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응답자와 끊임없이 소통하며 관계를 쌓아 신속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실시간으로 데이터와 자연스러운 응답
  • 소비자는 사진, 비디오, 오디오, 위치 기반 데이터를 공유하기 때문에 더 풍부한 자료
  • 스마트폰 사용패턴을 수동적으로 추적하고 geolocation을 이용한 더 자세한 결과
  • 컴퓨터 필요없이 밀레니얼(18-24세 성인) 등과 같은 특정 인구그룹 접근

기존 SMS 조사와 달리 앱을 이용한 정성/정량 조사와 온라인 브라우저 모바일 조사를 통해 리서치 과정을 개선합니다.

입소스의 핵심 애플리케이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 Device Agnostic 리서치 방법은 소비자가 원하는 기기(모바일 또는 컴퓨터)로 조사에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 당일 필드 접근 방식(overnight field approach)을 이용한 Fast Turnaround Solutions (컨셉 및 아이디어 테스트, Instant Brand Health 등)
  • Ethnography와 다이어리
  • 캠페인 스폰서 효과
  • 수동적 측정법과 모바일 다이어리를 이용한 미디어 소비
  • 수동적 측정법과 geolocation을 이용한 Shopper, Path to Purchase 및 Population Movement
  • 모바일 다이어리를 통한 제품 테스트
  • 고객 경험 (여행, 쇼핑 등)
  • 직원 피드백
  • Applife 앱을 이용한 정성 조사

운영 방법

  • Ipsos Engage: 모바일 브라우저 조사를 위한 설문지 템플릿입니다. 템플릿은 사용자 친화적이기 때문에 모바일에 맞는 설문 조사 디자인으로 구성되고, 응답자가 원하는 기기에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최적의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입소스 모바일 앱: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받고 소비자 행동을 긴 시간 동안 관찰하기 가장 적합한 플랫폼입니다. 모바일 앱을 통해 개방형 및 폐쇄식 질문을 할 수 있고, geolocation, 멀티미디어 캡처 기능(사진, 비디오, 오디오 녹음) 등 다양한 기술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 AppLife: 실시간 정성 조사로 응답자의 의견을 광범위한 영역에서 수집합니다. Geolocation, 사진 및 비디오를 이용해 더 깊은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이것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MS: SMS는 스마트폰 보급률이 낮지만 높은 사용률을 나타내는 지역에서 유용합니다. 특히, 질문 수가 적고, 사진이나 비디오를 찍을 수 없는 환경에 유용합니다.

모든 연구는 입소스 모바일 앱과 사용자 맞춤 플랫폼인 Online Reporting Dashboard를 통해 실시간으로 결과를 얻어냅니다.

위치 기반 조사 - Geolocation

사람들은 항상 휴대폰을 들고 다닙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에게 질문하여 데이터를 얻기가 쉬워졌습니다.

Geo-triggering을 이용해 응답자에게 앱으로 설문지를 전송할 수 있고, Geo-tracking을 통해 응답자가 어디로 이동하는지 파악합니다.

위치 기반 리서치는 인구 이동(population movement), 여행 경험, 고객 만족도 및 쇼핑 경험을 조사하는 데 유용합니다.

Geo-triggering을 통해 소비자가 판매점에서 나온 직후 설문 조사를 소비자 모바일로 바로 보낼 수 있습니다. Geo-triggering은 브랜드가 구매한 고객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방문객 중 제품을 구입하지 않거나 일부만 구매한 이유를 분석 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는 고객의 구매행태를 보다 자세히 파악하고 보완해야 할 부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

1. IN HOME 프로젝트에 모바일 사용 – 실시간 모바일 다이어리로 제품 테스트

중국의 어느 화장품 브랜드는 제품을 출시하기 전에 마스크 팩을 테스트하고, 경쟁사 실적과 세부적으로 비교하려 했습니다. 기본 제품 테스트(사용 기간 끝에 대면 조사)에 더해 소비자의 즉각적인 반응을 수집하는 모바일 다이어리도 사용했습니다. 기존 리콜 방식은 시제품이 경쟁사 제품과 동등하거나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줬지만, 반면에 실시간 모바일 다이어리는 기존 방식이 포착하지 못한 제품의 장단점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했습니다. 이러한 인사이트는 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제품의 개선점을 찾아줍니다.

2. 위치 기반 리서치 – Geo-triggering을 이용한 매장 내 경험 파악

한 브랜드가 소비자가 쇼핑하는 동안의 모바일 이용형태를 알고 싶었습니다. 소비자가 구매 시점에서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기 위해 물건을 살 때 소비자에게 다가갔습니다. 모바일 조사와 Geo-triggering을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했고 소비자의 행동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모집한 응답자는 쇼핑몰에 들어가 2시간 후에 조사에 참여하라는 메시지를 받았습니다. 브랜드는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새롭고 상세한 인사이트를 통해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었고, 스마트폰 덕분에 소비재 업체에 대해 온라인 전략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3.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리서치 – 실시간 브랜드 경험 파악

한 브랜드가 Formula 1 그랑프리 대회에서 대형 팝업 이벤트로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려 했습니다. 이벤트 방문자는 모바일 조사에 참여하여 브랜드와의 관계에 대해 평가했습니다. 조사를 통해 응답자의 실시간 반응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요소를 얻었고, KPI 및 브랜드와의 관계의 변화를 파악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는 인사이트를 얻어 개선해야 할 KPI과 소비자가 브랜드에 가지는 친밀감을 알 수 있었습니다.

New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