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Infrastucture Index 2023,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시민들의 생각

한국은 디지털 친화적인 네트워크 환경, 잘 구축된 쾌적하고 편리한 대중 교통, 의료, 교육 시스템 등 세계가 인정하는 안정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 중인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국가와 사회 그리고 개인의 경쟁력인 되는 인프라! 글로벌 시민들은 자국의 인프라 수준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요? 입소스 인사이트 아티클 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Globalinfraindex2023

‘인프라 - 사회 기반 시설 이라는 용어, 우리 모두에게 아주 익숙합니다. 경제, 사회, 안전, 산업, 교육, 의료, 에너지, 시설 등 국가 전반의 인프라 부터 우리 일상의 인프라까지, 인프라는 국가 경쟁력은 물론 개인의 경쟁력에도 영향을 주는 중요한 부분 으로 자리잡았죠.

특히 한국은 디지털 친화적인 네트워크 환경, 잘 구축된 쾌적하고 편리한 대중 교통, 의료, 교육 시스템 등 세계가 인정하는 안정된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 중인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국가와 사회 그리고 개인의 경쟁력인 되는 인프라! 글로벌 시민들은 자국의 인프라 수준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요? 인프라를 구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과연 무엇일까요? 그리고 한국인들은 한국의 인프라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을까요?

입소스 인사이트 아티클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에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 조사 개요

조사 기간 : 2023년 5월 ~ 2023년 6월

조사 국가 : G7 포함 글로벌 31개 국가(한국, 미국, 캐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국, 싱가포르, 스웨덴, 튀르키예, 이탈리아, 헝가리 등)

조사표본 : 글로벌 31개국 성인 22,816명, G7 국가(캐나다,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일본, 미국) 7,010명

조사 방법 : 입소스 Global Infrastructure Index Series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한국인이 느끼는 인프라 만족도

 

글로벌 평균보다 높은 한국인의 인프라 만족도

한국 시민들의 생각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글로벌 시민들은 자국의 인프라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글로벌 시민의 평균 38%는 현재 자국의 인프라에 만족(‘매우 만족’, ‘꽤 만족'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불만족한 시민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평균 30%의 글로벌 시민들은 ‘자국의 인프라에 만족하지 못한다’(‘매우 불만족', ‘꽤 불만족' 포함)고 답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그렇다면 한국 시민들의 인프라 만족도는 어느 정도였을까요?

한국인의 인프라 만족도는 41%로, 글로벌 평균(38%)과 G7 평균(33%)에 비해 자국의 인프라 수준에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글로벌 시민 57%, G7 시민 55%는 ‘자국의 인프라가 사회적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동일한 의견을 가진 한국 시민은 전 세계에서 가장 적은 21%에 불과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인들은 한국의 인프라 수준이 준수할 뿐만 아니라, 사회가 원하는 만큼 인프라가 빠르게 구축되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걸 알 수 있었어요.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어떤 인프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을까?

인프라 시설은 공항이나 고속도로, 상하수도 시설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입소스는 그중에서도 현대 사회에서 중요도가 높은 총 10개의 주요 인프라 시설(공항, 고속도로, 국지도로, 철도, 신규 주택 공급, 홍수 대비 시설, 디지털 인프라, 상하수도 설비, 전기자동차 충전 설비, 재생 에너지 인프라 등)에 글로벌 시민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여기서 한국 시민의 인프라 시설별 만족도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과연 한국 시민의 만족도는 어떤 수준이었을까요?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만족도 높은 인프라 : 공항, 고속도로, 철도, 디지털 인프라 등

한국의 경우 놀랍게도 조사를 실시한 인프라 시설 10개 중 9개 시설(공항, 고속도로, 국지도로, 철도, 신규 주택 공급, 홍수 대비 시설, 디지털 인프라, 상하수도 설비, 전기자동차 충전 설비 등)에 대한 만족도가 글로벌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글로벌 평균 G7 평균
공항 76% 68% 62%
고속도로 80% 57% 54%
국지도로 67% 45% 43%
철도 74% 48% 46%
신규 주택 공급 40% 38% 35%
홍수 대비 시설 32% 30% 29%
디지털 인프라 69% 58% 52%
상하수도 설비 67% 54% 56%
전기자동차 충전 설비 33% 32% 27%

 

그중에서도 ‘고속도로’(80%), ‘국지도로’(67%), ‘철도’(74%)는 글로벌 상위 5위 내로, 웬만한 다른 선진국보다 한국의 교통 인프라 수준이 우수하며 만족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어요.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글로벌 평균에 못 미치는 재생 에너지 인프라 만족도

하지만 글로벌 평균보다 만족도가 낮은 인프라도 존재했습니다. 바로 ‘재생 에너지 인프라’입니다. 이 인프라의 만족도(36%)는 글로벌 평균(44%)과 G7 평균(39%)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직 한국은 태양열 에너지나 풍력 에너지와 같은 재생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시설 상태가 미비함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시민들의 인프라 시설 투자 우선순위와 선호도

인프라 시설 만족도 다음으로 조사한 내용은 바로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와 선호도'였습니다. 시민들은 과연 어떤 인프라 시설에 먼저 투자하길 바라는지, 그리고 환경과 경기 부양 효과 중 무엇을 선호하는지 조사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태양열 에너지 관련 인프라 투자가 우선되어야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 조사 결과, 글로벌 시민들은 ‘태양열 에너지 관련 인프라 투자’(42%)를 가장 우선시해야 한다고 나타났습니다. 이는 2021년 조사 결과보다 3%p 증가한 수치로, 기후변화가 가시화되면서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습니다.

‘상하수도 설비’는 2021년 대비 1%p 떨어진 41%를 기록했지만, 물이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인 만큼 여전히 그 중요도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홍수 대비 시설’(41%)과 ‘신규 주택 공급’(39%)은 2년 전 조사와 동일하게 상위 4개 인프라 시설에 포함되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글로벌 시민들은 정부 부채 증가를 감수하고서라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할까요?

절반에 가까운 45%의 글로벌 시민들은 '이미 지출이 상당하기 때문에 추가 세금과 정부 부채를 사용한 인프라 구축은 더는 증가해선 안 된다'고 답했습니다. 코로나 이전인 2018년(53%)보다 약 8%p 감소했지만,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는 의견이었어요.

반면 '세금을 더 부과하고 정부가 빚을 내서라도 인프라를 더 구축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29%로 2018년(22%) 대비 소폭 증가했으나 여전히 소수 의견에 불과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환경과 경제적 효과, 무엇이 더 중요할까?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인프라 증가의 경제적 효과 기대하는 한국인, 절반에 못 미쳐

일반적으로 시민들은 인프라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일자리 창출이나 경기 부양 같은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거로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인프라의 경제적 효과에 동의하고 있을까요?

글로벌 조사 결과, '인프라 투자가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기를 부양시킬 것이다'라는 의견에 69%(‘적극 동의’ 31%, ‘어느 정도 동의’ 38%)가 동의했습니다.

한국은 위 질문에 47%만이 동의했는데, 이는 전 글로벌 평균(69%)과 G7 평균(63%)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였습니다.

그러나 이전보다는 인프라 투자의 경기 부양 효과에 동의하는 비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기 부양 효과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23년에는 전체 중 8%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인프라 건설, 기후 변화에 도움 될까?

또한 ‘인프라 투자가 기후 변화 대처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질문에는 글로벌 시민 59%, G7 평균 52%가 동의했으며, 한국 시민들 역시 54%가 동의했습니다. 다른 국가들에 비해 기후 변화 대처와 관련하여 인프라에 대한 기대가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죠.

반면 ‘현재 자국의 인프라가 미래의 기후 변화에 충분히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는 질문에 글로벌 시민 평균과 G7 평균 모두 61%가 동의했지만, 한국은 50%만이 그렇다고 답변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인프라 투자 시 환경을 고려하는 사람의 비율 점차 감소 중

그렇다면 인프라에 투자할 때 환경과 경기 부양 중 사람들은 어떤 것을 더 고려하고 있을까요?

글로벌 조사 결과, ‘환경을 우선시해야 한다’(47%)는 의견이 ‘경기 부양을 우선시해야 한다'(29%)는 의견보다 훨씬 높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2년 전 조사 결과(51%)와 비교했을 때 ‘환경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비율이 4%p 하락했습니다. 반면 ‘경기 부양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주장은 2년 전보다 3%p 증가했어요. 이를 통해, 인프라 투자 과정에서의 환경 보호는 여전히 중요하지만, 세계 경제가 악화되면서 경기 부양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지역 여론 수렴, 어느 선까지 필요한가

다음으로 조사한 내용은 바로 ‘지역 사회 여론의 수렴 여부’였습니다.

대체로 인프라를 건설할 때 정부는 공청회를 통해 해당 인프라 건설 계획이나 지역 경제 효과 등의 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지역 사회 여론을 수집합니다.

다만 지역 사회 여론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인프라 건설 일정이 다소 지연될 수도 있어요. 이에 대한 글로벌 시민과 한국 시민의 생각은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글로벌 평균 65%, G7 평균 58%의 시민들은 ‘일정이 다소 지연되더라도 인프라 건설 계획에 대한 지역 사회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글로벌 31개국 중 16개국 시민들이 이에 동의했어요.

동일한 질문에 한국은 63%의 시민들이 동의했고, 이는 글로벌 평균보다는 낮지만, G7 평균보다는 높은 수치였습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다만 지역 사회 여론 수렴과 인프라 만족도에는 다소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습니다. 지역 사회 여론 수렴에 신경을 쓸수록 전반적인 인프라 만족도가 낮아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는 지역 사회의 참여가 반드시 높은 인프라 수준을 보장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사회 인프라 수준 만족도와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입소스 인사이트 리포트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인프라 건설 비용,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하나

마지막 질문은 바로 인프라 건설 비용 부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인프라 건설에 투자할 때, 그 비용을 현재와 미래 세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라는 문항에 글로벌 평균 64%, G7 평균 59%의 시민이 동의했습니다.

한국은 61%의 시민들이 여기에 동의했어요. G7 평균보다는 높았지만, 남아공이나 태국, 브라질, 인도네시아 등 대부분의 나라들보다 낮은 순위였습니다.

 

마치며

글로벌 서베이의 장점은 한 국가의 인프라에 대한 대중의 태도를 다른 국가의 태도와 비교하여 맥락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호주, 아일랜드, 캐나다, 칠레 등에서는 신규 주택 공급이 최우선 순위인 반면, 헝가리,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남아프리카에서는 지방 도로가, 독일,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에서는 디지털 인프라가 상위 3위를 차지하는 등 국가 별로 투자 우선순위에 상당한 차이가 확인됐습니다. 한국인들은 대부분 자국의 인프라에 대한 만족도가 글로벌 시민 대비 높았지만, 재생 에너지 인프라의 만족도는 글로벌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또 현재 한국의 인프라가 미래의 기후 변화에 잘 대처할 거라는 기대 역시 높지 않았죠. 하지만 조사에 참여한 31개국 모두, 정부가 인프라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재생 에너지원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통해 친환경 인프라를 성장 시키기를 바란다는 공통적인 기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Ipsos Global Infrastructure Index 2023 전체 리포트를 통해 인프라에 대한 글로벌 시민들의 생각과 앞으로의 기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십시오. 리포트 전문은 아래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