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지수, 전 세계에서 몇 순위 일까?
다양한 조사 방법과 지표가 적용된 국가 브랜드 지수 보고서들이 발행되며 국가 브랜드 순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2008년부터 매년 Ipsos 글로벌에서 발행하는 The Anholt-Ipsos Nation Brands Index에 대해 알아보고, 2022년 리포트의 결과를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국가 브랜드 순위는 세계 몇 위일까?
다양한 조사 방법과 지표가 적용된 국가 브랜드 지수 보고서들이 발행되며 국가 브랜드 순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Ipsos(입소스) Global은 매년 국가 브랜드 지수(The Anholt-Ipsos Nation Brands Index)를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Anholt-Ipsos 국가 브랜드 지수는 국가 통치 방식을 포함한 정치적 요소 및 무역, 비즈니스, 여행과 같은 경제적 요소, 국민성 등을 기준으로 사람들이 해당 국가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평가하여 지수를 산출합니다.
*Nation Brand Index 2005년 국가 이미지 권위자인 Simon Anholt가 디자인하여 소개한 인덱스로, 1998년 부터 현재까지 전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조사 대상 국가는 총 20개 국가(미국, 캐나다, 프랑스, 러시아, 폴란드, 한국, 중국, 일본, 멕시코, 브라질, 남아공 등등)이며 국제 관계와 비즈니스, 문화 분야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끼치는 선진국이자 개발도상국이기 때문에 핵심 국가(Core panel countries)로 분류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지수는 과연 몇 순위를 기록했을까요? 이번 아티클에서는 <The Anholt-Ipsos Nation Brands Index>에 대해 알아보고, 2022년 리포트의 결과를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사개요
조사기간 : 2022년 중
조사국가 : 글로벌 20개국(미국, 캐나다, 프랑스, 러시아, 폴란드, 한국, 중국, 일본, 멕시코, 브라질, 남아공 등등)
조사표본 : 18세 이상 성인 6만 명 이상
조사방법 : 입소스 온라인 서베이(Ipsos Online Survey)
Anholt-Ipsos 국가 브랜드 지수를 평가하는 6가지 지표
Anholt-Ipsos 국가 브랜드 지수는 각 20개국의 패널들을 대상으로 총 6가지 지표(수출, 통치, 문화유산, 국민, 관광, 투자 등)를 평가해 결정됩니다. 각 지표들을 간략히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수출
제품 원산지, 과학 기술력, 특정 산업 협회 구성 등에 대한 인식을 평가합니다.
통치
정부의 행정력과 투명성, 국민들에 대하는 자세와 존중, 국제 활동(국제 평화, 안보, 환경보호, 기아 문제 등)에 대해 평가합니다.
문화유산
국가의 문화적 유산과 그 동안 축적된 그 나라의 현대 문화 분위기(음악, 영화, 예술, 문학, 스포츠 등)를 평가합니다.
국민
해당 국가를 방문했을 때 사람들이 얼마나 반겨주는지, 해당 국가에 친한 친구를 만들고 싶은지, 또는 해당 국가의 인재를 채용하고 싶은지를 평가합니다.
관광
관광에 중요한 세 가지 요소인 자연적 아름다움, 역사적 건축물과 기념비, 도시 생활의 활기와 매력을 바탕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잠재적인 관광의 매력성도 평가합니다.
이민 & 투자
해당 국가가 유학, 취업, 생활하기 좋은 국가로 인식되는지, 경제적 성장과 기회의 평등에 대한 인식, 궁극적으로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는 곳 인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합니다. 경제적/사업적 조건에 대한 인식도 포함됩니다.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는 몇 위였을까?
그렇다면 위 6가지 지표들을 바탕으로 세계인들이 평가한 대한민국의 2022년 국가 브랜드 지수는 몇 순위였을까요?
2022년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지수는 23위였습니다. 대한민국은 2021년에도 국가 브랜드 지수가 23위를 기록했었죠. 하지만 정확한 점수 결과를 보면 2021년과 2022년 결과가 약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2022년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지수는 61.09점이었지만, 2021년에는 61.50점이었습니다. 2021년 대비 2022년 지수가 0.41점 하락한 것이죠.
절대적인 점수로 봤을 때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경쟁력이 하락한 것처럼 보일수도 있지만 상위권 국가들의 지수도 전체적으로 하락했기 때문에 지수 하락보다는 순위 변동에 주목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가 브랜드 지수 1위는 독일이 차지했고, 2위는 일본, 3위는 캐나다, 4위는 이탈리아, 5위는 프랑스가 차지했습니다.영국과 스위스, 미국, 스웨덴 등등 주로 북미와 유럽권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했어요.
2021년과 비교해봤을 때 일본, 프랑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그리스 등 19개국은 2022년에 국가 브랜드 랭킹이 상승했습니다. 반면 캐나다, 영국, 벨기에, 아이슬란드 등 13개국은 국가 브랜드 랭킹이 하락했습니다.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국가는 러시아로 27위에서 58위로 떨어졌습니다.
국가 브랜드 파워를 높이는 요소는 무엇일까?
그러면 어떻게 해야 국가 브랜드 파워를 높일 수 있을까요? 여행과 국민, 이민 & 투자 지표에서 나타난 국가 방문 요인과 투자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가 방문 요인의 종류들은 총 19개(자연적 아름다움, 친한 친구, 취업 및 거주, 환영, 삶의 질, 역사적 건축물, 교육, 문화적 유산 등등)가 있었는데요, 그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한 3개 요인은 바로 ‘자연적 아름다움(16%)’, ‘친한 친구(10%)’, ‘취업 및 거주(9%)’였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순서대로 ‘활기 넘치는 도시 생활(8%)’, ‘환영(8%)’, ‘삶의 질(6%)’, ‘역사적 건축물(6%)’, ‘교육(5%)’, ‘문화적 유산(4%)’ 등등이 있었습니다.
상위 3개 요인(자연적 아름다움, 친한 친구, 취업 & 거주)의 연도별, 지역별 흐름을 보면 북미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2019년부터 점수가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국이 포함된 아시아 태평양 국가는 6개 지역 중 3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이 매력적인 여행 국가로 더욱 성장하기 위해서는 잘 준비된 자연 경관과 국민들간의 교류가 필요하며, 취업과 거주 환경이 잘 갖춰놔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렇다면 세계인들은 이민과 투자와 관련하여 어떤 요인에 높은 점수를 줬을까요?
총 21개 요인들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3개 요인은 바로 ‘취업과 거주(10%)’, ‘교육(9%)’, ‘삶의 질(7%)’이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순서대로 ‘사회 내 평등(7%)’, ‘창의적인 공간(6%)’, ‘구매력(6%), ‘과학 & 기술(5%)’, ‘친한 친구(5%)’ 등등이 있었습니다.
관광과 단순 방문과는 다르게 이민과 투자가 목적이다 보니 확실히 실질적으로 내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점수가 높게 나온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상위 3개 요인(취업 & 거주, 교육, 삶의 질)의 지역별, 연도별 흐름을 보면 여행 및 단순 방문과 마찬가지로 2019년부터 급격히 상승하다가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약간의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한국이 포함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동 & 아프리카 지역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들에 비해 비교적 점수의 낙폭이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한국이 국가 브랜드 지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여행 분야는 관광 명소와 인간적인 교류 확대, 이민과 투자 분야는 취업 및 거주에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외국인의 국내 취업 요건 중 비효율적인 부분들을 개선하고, 일정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임금과 생활 물가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겠죠.
여기까지 입소스 리포트를 바탕으로 2022년 대한민국의 국가 브랜드 지수와 국가 브랜드 지수 향상을 위한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2023년 연말에도 새로운 국가 브랜드 지수가 발표되니 관심있게 지켜봐주세요!